|
23,000 → 20,700원
(10.0%↓)
   1,150
|
|
|
[출판사 서평]한국교회 위기의 해답은 반율법주의 치료에 있다!
- 각국의 저명한 신학자 121명이 웨스트민스터 총회로 모인 이유!
- 한국교회가 도덕-윤리적으로 부패하고 신앙의 열정이 사라져가는 이유!
- 존 오웬과 리처드 백스터가 치열하게 논쟁한 이유!
- 한국 교계 내에서 능동적 순종 이슈가 논쟁된 이유!
“기술의 발달과 한 신학자의 열정적인 수고 덕분에, 2004년에야 비로소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모인 청교도 신학자들이 어떤 토론의 과정을 거쳐서 표준문서들을 작성했는가를 소상히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 거의 400여 년 전에 기록된 문서들은 당시 가장 중요한 논쟁의 주제가 반율법주의였음을 보여준다.” - 본서 31쪽
16-17세기 웨스트민스터 총회가 열려야만 했던 이유는, 근래 한국교회의 교세가 쇠퇴하고 또 교계 안에서 능동적 순종 교리가 논쟁이 된 이유와 같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건 바로 율법에 대한 오해라는 사실이다.
16세기 당시 저명한 신학자들이 웨스트민스터 총회로 모인 이유는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반율법주의 때문이었다. 전쟁으로 피폐해진 사회에서 신앙고백만 하면 영원한 천국을 선물로 받는다는 반율법주의자들의 가르침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다. 하지만 그 결과 교회와 사회는 무질서와 방종이라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었고, 그런 무질서와 방종의 흐름은 교회 안으로도 그대로 들어왔다.
그러나 현재 한국교계 안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일어났다. 한국교회가 도덕적으로 윤리적으로 타락하고, 성도들의 헌신과 열정이 사라져간다는 것이다. 이에 많은 이들이 달려들어 문제를 진단하지만, 사실 이 모든 일의 근본적인 문제는 결국 신학적인 문제다. 율법에 대한 오해와, 행위언약에 대한 오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에 대한 오해가 결국 교회와 사회를 반율법주의로 인도한 것이다. 이로써 도덕적, 윤리적 타락과 무기력하고 몰양심적인 신앙을 양산해낸 것이다.
청교도 진영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존 오웬과 리처드 백스터가 서로 한 팀이 되지 못하고 치열하게 논쟁한 이유는, 그만큼 반율법주의로 인한 폐단이 심각했기 때문이다. 당시 수많은 청교도들이 반율법주의를 대항하기 위하여 웨스트민스터 총회를 열어 신앙고백서를 작성할 만큼, 청교도들은 반율법주의를 종교개혁의 크나큰 위협과 장애물로 생각했다. 그래서 존 오웬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설교하자, 리처드 백스터는 그 교리를 반율법주의로 오해하여 둘 간에 심각한 갈등이 일어났던 것이다.
근래 한국교회 안에서 일어났던 능동적 순종 교리에 대한 논쟁은 굉장히 많은 시사점이 있다. 그만큼 한국교회가 율법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었고, 그 오해는 결국 그리스도께서 꼭 율법을 지키셔야만 했는가?에 대해 명쾌하게 답을 못한 것이다. 수많은 이들이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교리를 당당하게 개혁주의 정통교리라고 말하지 못한 이유! 그것은 바로 한국 교계 안에 반율법주의가 팽배하게 깔려있다는 반증인 것이다! 한국교회의 위기에 대한 해답을 찾는가? 바로 이 책을 자세히 잘 살펴보시라! 이 안에 보물이 있다!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익]1. 반율법주의가 얼마나 교회에 치명적인지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웨스트민스터 총회 참석자들이 무엇을 염두하고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는지 그 이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3. 존 오웬과 리처드 백스터가 싸웠던 이유와 그 싸움의 과정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4. 율법에 대한 오해, 행위 언약에 대한 오해, 능동적 순종 교리에 대한 오해를 교정할 수 있다.
5.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안에 담긴 능동적 순종 교리를 확인할 수 있다.(“온전한 순종”이란 문구에 대한 해설) 이는 한국 교계 내에서 일어난 능동적 순종 교리 논쟁을 이해하는데 빛을 던져준다.
6.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지금 21세기 한국교회에 필요한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
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작성자들이 토론하고 논의했던 구체적인 주제를 확인할 수 있다.
- 성경의 가르침을 어떻게 압축하여 요약할 수 있는가?
- 그리스도인의 일상 생활 규범과 십계명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구원의 근거는 무엇인가? 성도의 믿음인가, 전가받는 그리스도의 의인가?
- 성경적인 교회 정치 체계는 장로교회인가, 회중교회인가?
8. 대한민국 개신교가 받은 청교도의 유산을 확인할 수 있다.
- 청교도와 미대륙 뉴잉글랜드 회중교회가 신앙의 자유를 외친 이유
- 한국 교회 뿌리 안에 있는 청교도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