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휴무일 안내]
■ 업체 휴무일 : 04월 24일(목) ~ 04월 25일(금)
■ 발송 재개일 : 04월 28일(월)
업체 휴무로 인하여
04월 24일(목) ~ 04월 25일(금) 이후 주문은
04월 28일(월) 부터 순차적으로 출고 됩니다.
이 책은 한권의 책이 아니라 여러 권의 책이다.
만일 당신이 영화가 무엇인지, 영화를 어떻게 이해할 것이며 영화 비평은 어떻게 쓰는지를 알고 싶다면, 그리고 신학이 무엇이며 오늘날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종교와 사회, 교회와 영화관이 어떻게 만나야 하는지, 신학적 영화비평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싶다면, 나아가 이 모두에 대한 적절하고도 다양한 사례들을 보고 싶다면, 단지 이 한권의 책을 보면 된다! 놀라울 정도로 풍부한 사례와 평이한 문장을 통해, 밑줄을 그으며 읽어야 할 전문 지식들까지도 쉽고 흥미롭게 설명해 놓은 것도 이 책이 가진 두드러진 미덕이다.
김용규 [영화관 옆 철학카페], [데칼로그]의 저자 신앙의 눈으로 영화를 볼줄 아는것은 문화 변혁의 중요한 조건이다. 관객의 눈이 바뀌면 영화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좋은 영화를 가려내고, 그 의미를 바로 읽어내는 것은 영화의 영성을 분별하는 기초이다. 이 책은 영상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필수적인 이 두 가지 지혜를 제시한다.
신국원 / 총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영화와 영성]은 영화를 기독교의 선전 도구로 제한하거나 기독교를 통속화하지 않으면서 영화와 기독교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건실한 다리를 놓는다. 무릇 다리란 양끝이 지지하고 있는 지면이 단단해야 무너지지 않는 법이다. 저자는 영화와 기독교 양자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 그리스도인이 영화에 접근할 수 있는 실용적인 다리 놓기에 성공한다.
유재희 / 영화평론가, '문화선교연구원' 영화분과 선임연구원 이 책은 신앙과 영화, 혹은 기독교와 영화 사이의 서먹한 관계 때문에 난감해하는 사람들에게 둘의 화해와 창조적 관계를 이끄는 안내서가 될 것이다. 글쓴이가 할리우드 영화, 특히 미국 백인 중산층의 정서에 적합한 영화에 집중한다는 점만 경계한다면, 이 책은 대중문화 전반에 관한 쉽고도 풍부한 신학 입문서로도 손색이 없다. 독자들은 이 책을 읽는 과정에서 신앙인을 경직된 교리로부터 해방하여, 주어진 삶의 현장에 적극적인 주체로 세우는 신학의 능력을 만끽하는 가운데, 영화뿐 아니라 영화와 함께 형성되는 우리 시대의 세계 전반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시각을 얻게 될 것이다.
정혁현 / 목사, 영상문화연구소 '케노시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