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봉호성경에 깊이 뿌리를 내린 촘촘한 사유를 토대로 시대의 문제들 앞에서 신앙인으로서의 대안제시와 함께 일관된 실천의 모범을 보이며 달려온 철학자, 신학자, 시민운동가, 교리는 있으되 세상 보는 눈까지 기독교적이지는 못하던 교회에 기독교 세계관을 소개하고, 구원은 있되 구원받은 자의 삶이 실종된 교계에 윤리적 실천의 필요성을 각성시키며, 이교적 이원론의 영향 아래 분열증을 앓던 한국 기독교에 하나님의 주권사상이라는 백신을 투여한 선각자요 선견자라는 평을 받는다.
서울대 교수, 한성대 이사장, 동덕여자대학교 총장,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이사장, 경실련 공동대표, 세계밀알연합회 이사장, 영동교회, 한영교회, 다니엘교회 등의 개척자와 협력 설교자로서 학원, 사회, 그리고 교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그리스도인의 됨, 앎, 함을 드러내왔다.
「나는 누구인가」, 「윗물은 더러워도」, 「별수 없는 인간」(이상 샘터), 「고통받는 인간」(서울대 출판부), 「울림 열림 어울림」(철학과 현실사)등의 저서를 통해 신앙과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격조 높으면서도 아주 평이한 언어로 풀어낸 저지이며, KBS, MBC, SBS와 그 밖의 방송매체를 통해서 자녀교육, 인성계발, 시민사회 도덕교육에 관해 많은 명강의를 한 강사이다. 부인 박성실 권사와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신국원총신대학교 신학과(B. A.)를 졸업하고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교(M. A., M. Div., Th. M.)를 거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Ph. D.)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 기독교학문연구소(Institute for Christian Studies)를 거쳐, 미국 미시간 주 칼빈대학교 언론학부와 어바나 샴페인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에서 객원연구교수로 문화이론을 연구했고, 칼빈대학교 헨리 미터 센터(Henry Meeter Center)에서 펠로 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앤아버(Ann Arbor) 한인성서교회를 담임한 바 있는 그는,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과 철학 담당 교수이자 삼일교회 협동목사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니고데모의 안경』『신국원의 문화 이야기』『포스트모더니즘』『변혁과 샬롬의 대중문화론』(IVP), 『대중문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예영커뮤니케이션, 공저), 『기독교인의 생활윤리』(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부), Hermeneutic Utopia: Hans-Georg Gadamer’s Philosophy of Culture (TfT Press) 등이 있으며, 『대중문화전쟁』(예영커뮤니케이션), 『변증학』(개혁주의신학사), 『서양 사상의 황혼에서』(크리스챤다이제스트), 『행동하는 예술』(IVP)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이승구저자는 기독교교의학(Christian Dogmatics)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이로서, 현재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그는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를 졸업하고(B.A.),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윤리학과 가치 교육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합동신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영국The University of St. Andrews 신학부에서 연구에 의한 신학 성사 학위(M.Phill.,1985)와 신학 박사 학위(Ph.D.,1990)를 취득하였고, 미국 Yale University Divinity School 에서 연구원으로 연구하다가(1990-1992) 1992년에 귀국 후 한국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과 국제 신학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연구한 바 있고(2000년 여름),화란 자유대학교 신학부의 초청으로 안식 학기를 방문 학자(visiting scholar)로서 자유대학교에서 연구한 바 있다(2006년 가을 학기). 한국의 여러 신학회의 학회지 편집을 감당하고, 세계개혁신학회(IRTI)와 화란의 Brill 출판사가 내는 Journal of Reformed Theology의 편집인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저서]
현대영국신학자들과의 대담
개혁신학에 의한 참구
교회론 강설:교회란 무엇인가?
Barth and Kierkegaard Seule : Westmister Theological Press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강해1: 진정한 기독교적 위로
개혁신학탐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강해2: 성령의 위로와 교회
인간복제: 그 위험한 도전
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사도신경
21세기 개혁신학의 방향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라보는 21세기 한국사회와 교회
Kierkegaard on Becoming and Being's Christian. Meinema: Boekencentrum
코넬리우스 반틸
전화기의 개혁신학
정기철숭실대학교 철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독일 보훔 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1993)
독일 보훔 대학교 신학과 신학박사(2002)
호남 신학대학교 교수
저서로는: 「종말론과 윤리」,한들출판사(2000)
「시간문제와 종말론」,한들출판사(2000)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문예출판사(2002)
「해석학과 학문과의 대화」,문예출판사(2004)
「에버하르트 융엘」,살림출판사(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