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가 소개하는 《나의 아버지 주기철》
아버지 품이 그리웠던 소년이
순교 신앙을 전하는 사명자가 되기까지모진 고문으로 옥중에서 순교한 주기철 목사는 저서나 자서전을 남기지 못했고, 평양에서 직접 작성했던 설교와 각종 문서들도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들은 당시 성도들과 가족의 증언뿐이다. 한국 순교자의 자취를 전하는 데 힘써 온 유승준 작가는 주기철 목사의 막내아들인 주광조 장로의 어린 시절을 복기한 친필 원고와 육성 자료, 당시의 사실적 증언들을 토대로 《나의 아버지 주기철》을 펴냈다. 주광조 장로는 주기철 목사의 순교 과정과 어머니 오정모 집사를 비롯한 가족의 수난을 직접 목격하고 겪은 유일한 사람이었다. 저자는 주기철 목사의 자녀 세대가 모두 세상을 떠난 지금 그의 순교 신앙을 전해야 하는 이 책의 사명을 느꼈다. 초판은 2014년에 출간된 《서쪽 하늘 붉은 노을》이며, 2024년 4월 21일 주기철 목사 순교 80주년을 기념해 개정되었다. 개정판에는 주광조 장로가 세상을 떠나고 난 뒤의 이야기가 더해졌고, 주기철 목사의 흔적을 따라 가며 그의 신앙을 사색할 수 있는 ‘주기철 로드 순례’가 수록되어 있다.
순교자와 가족의 서사를 통해 본
고난과 십자가의 의미막내아들 광조가 첫돌 갓 지났을 무렵 생모 안갑수는 갑작스레 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할머니 손에 맡겨져 동냥젖을 먹고 자라났다. 두 번째 어머니 오정모는 아버지를 순교로 이끈 투철한 신앙을 가진 분이었다. 그가 기억하는 아버지는 강철 같은 의지를 가진 투사도, 물불을 가리지 않고 돌진하는 전사도 아니었다. 연약한 한 인간일 뿐이었다. 그러면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십자가를 마다하지 않았던 것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향한 뜨거운 사랑 때문이었다. 아홉 살 광조는 항복을 받아내려는 일본의 술책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고문 장면을 보게 되었고 한동안 실어증을 앓아야 했을 정도로 일제의 탄압은 잔혹했다. 아버지 품이 그리웠던 소년은 눈물로 기도했지만 아버지는 끝내 처참하게 훼손된 시신으로 돌아왔다.
“어머니, 아버지 발이 이상해서 사람들에게 보여 주고 싶지 않아요.” 이 말을 하고 싶었지만 입 밖으로 나오지가 않았다. 내가 말도 없이 고개만 흔들면서 아버지 발목을 붙잡고 있자 어머니께서 내 손을 확 치우셨다. 아버지 발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제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뭉개진 채 검게 썩어 들어가던 아버지의 발. 어머니는 황급히 아버지의 발을 가리셨다. _본문 중에서
이 책은 순교자와 남겨진 가족의 서사를 통해 고난과 십자가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뒤이은 어머니의 죽음, 뿔뿔이 흩어진 가족과 큰형의 순교, 가난과 질병으로 점철된 청년 시절의 방황…… 비록 시대의 그림자가 삼켜 버린 가족의 아픔을 안고 살아가야 했지만 주광조 장로는 고난을 지나 하나님의 섭리를 깨달아 순교 신앙을 전하는 일에 삶을 바쳤다.
ㆍ 유승준 작가의 해설과 함께하는 주기철 로드 순례(www.eduru.co.kr)
# 첫째 날
1. 국립서울현충원독립유공자묘역 주기철 목사 가묘와
국가유공자 제2묘역 조만식 장로 가묘
2. 천안공원묘원주기철 목사 3남 주영해 장로 부부 묘소와 4남 주광조 장로 부부 묘소
3. 부산 초량교회 역사관초량교회는 1892년 미국 배위량 선교사에 의해 부산 지역 최초로 설립된 장로교회로 1926년에 부임한 주기철 목사는 1931년 마산 문창교회로 옮겨 가기까지 치열하게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주도했다.
# 둘째 날
4. 마산 무학산 십자바위주기철 목사가 문창교회 재직 시절 자주 올라 교회와 민족을 위해 기도하던 장소다.
5. 항일독립운동가 주기철목사기념관ㆍ생가주기철 목사의 항일독립운동에 관한 다양한 자료와 그가 보여 준 불굴의 신앙을 확인하면서 사색하는 공간이다.
6. 웅천읍성ㆍ웅천왜성ㆍ세스페데스 공원
수난의 역사를 간직한 주기철 목사의 고향
# 셋째 날
7. 마산 문창교회주기철 목사가 1931년부터 1936년까지 시무한 교회로 1932년 막내아들 주광조가 태어났으며 이듬해 아내 안갑수가 급환으로 별세했다. 오정모 집사와 재혼한 주기철 목사는 동방의 예루살렘으로 불리던 평양으로 임지를 옮겼다.
8. 경남선교120주년기념관ㆍ호주선교사묘원같은 고장 출신인 주기철 목사와 손양원 목사의 순교 기념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는 곳이다.
9. 주기철목사수난기념관평양 산정현교회에서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이끌던 주기철 목사는 일제가 조작한 의성농우회 사건에 연루되어 1938년 8월부터 12월까지 경상북도 의성경찰서로 끌려와 형언할 수 없이 가혹한 고문을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