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미국 Christianity Today 최우수상 수상작!
미국 Crossway에서 2018년 4월에 출간한 책으로 그해 전체 Top 10을 기록했던 책.
강력 추천!
박대영목사(광주소명교회 책임목사, <묵상과 설교> 편집장), 신상목 기자(국민일보 종교부), 정갑신목사(예수향남교회)
“기독교의 손대접(환대)은 단순한 베품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놀라운 하나님의 손길이다.”여기 가정을 개방하여 날마다 이웃을 초대하고 손 대접을 실천한 한 여성의 삶의 이야기가 있다. 그녀는 왜 그렇게 날마다 손 대접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오고 있는가?
이것은 단순히 하나의 그리스도인의 선택과 취향의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오늘날의 문화 속에서 우리가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에 관한 심중한 메시지이다. 오늘날 탈 기독교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고 어떻게 복음을 전할 것인가? 우리의 세계관과 가치관에 점점 적대감을 갖는 세상 속에서 이웃에게서 잠정적 원수로 취급되는 것을 그냥 내버려두면서 살 것인가? 그저 우리 자녀들만 돌볼 것인가?
성경은 손 대접을 명령한다. 왜일까? 손 대접은 우리와 이웃의 관계를 규정해 주는 중요한 실천 원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웃을 나와 상관없는 이로 규정하고 단절된 삶을 살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웃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동료 인간으로 보아 사랑의 손길을 베풀어야 한다. 이를 통해 낯선 이를 우리의 이웃으로 삼고, 우리의 이웃을 하나님의 가족으로 만들어야 한다.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로서 반기독교 세계관을 갖고 있었던 저자 로자리아 버터필드는 한 겸손한 목사 부부에게서 저녁 식사 초대를 받았다. 그리고 매주 그들의 집에서 손 대접을 받으며 그들과 어울리는 과정을 통해 복음을 강력하게 대면하는 모멘텀을 얻게 되었다. 이제 저자는 급진적으로 일상적인 손 대접을 실천하면서 이웃과 교류하는 삶의 모습을 책으로 기록하였다. 오늘날 이웃과의 단절을 특징으로 하는 이 시대의 문화 속에서 우리는 성경이 말하는 이웃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웃에게 다가가야 한다. 그리고 이 책은 실제적인 예를 들어 그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 준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결코 완전하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이웃의 삶 속에 등장해야 한다. 그리고 이웃과 교류하면서 복음이 그들에게 서서히 스며드는 통로가 되어야 한다.
탈 기독교 시대에 우리는 어떤 이웃으로 살고 어떤 복음전도자로 살 것인가?
박대영, 신상목, 정갑신, 칼 R. 트루먼, 글로리아 퍼먼, 레이 오틀런드, 에이미 버드, 멜리사 크루거, 러셀 무어, 샘 올베리 추천